에브리데이

저자 : 데이비드 리바이선 (출판사 : 민음사)

 

정말 오랜만에 읽은 소설이다. 그래서 그런 걸까. 책을 읽는 동안 오로지 이 책에 집중할 수 있었던 시간을 보냈다.

A는 주인공이자, 매일 다른 사람의 몸으로 깨어나는 '사람'이다. A는 여자도 아니고, 남자도 아니다. 그렇기에 A는 남자도 사랑할 수 있고 여자와도 사랑할 수 있다. 성별도, 종교도, 취미도, 성향도 어떠한 것에도 편견을 가지지 않는다. 어쩌면 A의 이러한 특성은 그가 매일 다른 사람의 몸으로 깨어나는 특수한 위치에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16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바뀐 몸으로 살면서 A는 평범한 사람처럼 항상 그 자리에 있는 가족이 갖고 싶었고, 친구가 갖고 싶었다가 어느덧 스스로만의 '규칙'을 만든다. 빌려 쓰는 몸의 주인의 일상을 되도록 지켜주는 것. 하지만 레이넌이라는 소녀를 만나게 되면서 A는 '규칙'을 깨면서 그녀를 사랑하고, 만나기 위해 노력한다.

하루의 시간, 사랑에 빠지기 충분했을까?

고작 단 하루. 레이넌의 남자친구 몸으로 그녀를 만났던 것뿐인데 A는 그녀를 사랑하고 만다. 처음엔 그게 가능할까 싶었다. 하지만 A에게 '하루'는 짧은 시간이 아닐지도 모른다. 보통 자신의 자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달리 매일 다른 몸으로 깨어나는 A에게 '하루'는 일회성이자, 도전일지도 모른다.

매일 낯선 환경을 겪어야 하는 A가 그날 선택한 작은 '일탈'은 레이넌과 보냈던 시간을 특별하게 만들었고, 어쩌면 달콤했을지도 모른다. 그 달콤한 시간 동안 A는 레이넌의 남자친구이되, 남자친구가 아닌 A의 행동을 하면서 그녀와 마음을 나눴을 거라 믿는다. 그녀와 보냈던 시간 동안 A는 숨겨왔었던 자신을 드디어 꺼내 보이기도 했던 거다.

A의 존재는 악마인가

A는 우연히 '네이선'의 몸을 하루 빌려 쓰게 되었을 때 네이선이 집요하게 자신을 찾으려고 노력할 거라고는 절대로 예상하지 못했다. A에겐 일탈이었던 그 하루는 악마에게 몸을 빼앗겼던 것뿐이었다고 주장한다.

A는 이때 처음으로 자신의 존재가 '악마'로 비칠지도 모른다는 자각을 하게 된다. 자신이 존재한다는 '실체'가 없으며 몸을 '빌려'쓴다고 생각했지만 '훔친다'라고는 생각을 못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A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악마'일지도 모른다는 고민은 조금도 하지 않는다.

재미있게도 A는 좋아하는 책도 있고, 좋아하는 음악도 있으며 그의 도덕성은 어느 사람들과 별다를 게 없다. 약에 취한 몸에 들어가게 될 때면 A는 몸이 이끄는 '본능'대로 유혹에 굴복하지 않기 위해 책을 읽으며 힘겹게 하루를 견디기도 한다. A의 도덕성과 그의 가치관이 몸의 주인에게 '좋은 영향'이 되는 깨달음이 될 수 있는 바람도 남기기도 한다.

어쩌면 A가 몸을 빌려 쓴 하루는 몸의 주인이 자신만의 사고방식과 태도를 벗어나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작은 파장을 심어주는 것 같다.

스스로를 위한 하루를 찾아가기 시작하다

A는 레이넌을 사랑하게 되면서 매일같이 바뀐 몸으로 '규칙'을 깼다. A의 하루의 시작은 그녀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거리에 있는지부터 확인하게 되었고, 그녀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을 했다.

어쩌면 사랑이 '몸'도 '실체'도 없는 A를 점점 바뀌도록 한 것은, 결국 A가 스스로를 찾아가는 발판이 될 수 있게 한 걸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그녀와 평범한 일상을 누리고 그녀와 내일을 아무렇지 않게 기약할 수 있는 바람은 어쩌면 당연한 거다. A는 자신의 처지를 알면서도 그 바람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고 생각한다.

세상에 이런 존재는 오직 자신뿐이었다고 믿었던 A에게, 한 몸에서 원하는 대로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다고 유혹한다면 당연히 끌리지 않았을까? 매일 몸이 바뀌는 것이 어느덧 당연했고, '빌려 쓴다'라고 생각하는 것 역시 당연했다.

레이넌과 함께 할 수 있으며 A가 바라는 이상향의 몸과, 좋은 인간관계가 있는 그 자리는 역시 너무나도 유혹적이었다. 지긋지긋한 자신의 처지를 드디어 걷어차고 안정적인 자리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르는데, A는 결국 자신의 가치관을 선택했다. 그 기회가 실패할지도 모르지만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은 것이다.

A의 입장에서 그건 살인이었다. 자신이 원하지 않아도 매일 바뀐 몸에서 깨어나는 일상은 어쩔 수 없어도, A 스스로가 자신의 의지로 몸을 차지하는 건 옳지 않음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거야말로 네이선이 말한 '악마'일지도 모른다. A는 자신이 빌려 쓸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신의 존재를 타인에게 당당히 내밀 수는 없어도 결코 악마라는 의심은 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A는 자신의 가치관과 자신만의 도덕성으로 스스로가 존재함을 믿는다. 그의 믿음은 사랑보다 확고해서, 결국 스스로를 위한 하루를 찾아 떠나는 것을 선택한다. 사랑을 위해 몸의 주인으로 하여금 일탈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A 스스로를 위한 일탈을 하는 것이다.

A는 그렇게 자신의 존재한다는 사실을 남에게 보여줄 거다. 더 이상 숨지도 않을 것이며, 스스로를 위한 시간을 온전히 가지게 될 것이다. 자신의 자리를 가질 수는 없어도, 그 일탈이 사람들에게 특별한 인상을 심어주면서 A를 기억하게 될지도 모른다.

+ Recent posts